JavaScript23 JavaScript: 기본적인 Math함수, 같이쓰는 함수들 Math.ceil() : 올림 Math.floor(): 반올림 Math.random(): 랜덤한 숫자를 이용한다. 정확한 랜덤은 아니기때문에 조심해야함. Math.random()은 0과 1사이의 숫자이기때문에, 1~10사이의 숫자를 뽑고싶다면 Math.floor(Math.random()*9))+1 과 같이 다른함수들과 함께 쓴다. split(): 문자 -> 배열 로 바꿔줌. join(): 배열 -> 문자 로 바꿔줌. indexOf(): 찾는 값의 인덱스 값을 알려줌. 1차원배열일때 쓴다. 찾는 값이 없을때는 -1이 나온다. 이걸 이용해서 있는지 없는지의 여부를 알 수 있다. splice(): 랜덤으로 뽑기 pop(): 뒤부터 뽑기 shift(): 앞부터 뽑기 2020. 5. 8. JavaScript: html에 내용 표시하기 자바스크립트로 html에 내용을 표시할 수 있는 명령문들이 있다. 일반적으로 html에서 쓰면 되는 내용이 아니라, 새로 생성이 되어야 할 내용들 때문에 이용을 하게된다. 만들어져있는 태그를 선택할때 --> querySelector 태그를 생성할때 --> createElement 내용을 입력할때 --> textContent 내용을 집어넣을때 --> append, appendChild(주로 반복문에서) 어떤 태그 안에 넣어주고 싶다면, querySlector로 먼저 선택한뒤 생성하면 된다. box 안에 안녕와, body에 헤헤가 들어온 것을 볼 수 있다. 2020. 5. 7. JavaScript : 객체와 반복문 객체 : 값들을 그룹화 한 것. 이름, 나이, 키, 등등[속성] 을 포함하는 사람[객체]으로 생각할 수 있음 프로퍼티(속성) : 객체의 하나하나의 특성. ex) 이름, 나이, 키 메서드 : 프로퍼티처럼 생겼지만, 값대신 함수가 들어간 것. while : (멈출때까지 반복) while (true) if : (조건이 만족한다면 실행) if (a>10 || b>10) for : (조건이 만족할 때까지 반복) for (var i=1; i 2020. 5. 6. 이전 1 ··· 3 4 5 6 다음